그래픽노블
11
.png&blockId=15bfe8b5-2438-8015-bd42-d87cec55a74b)
여행 가방을 풀자, 죽은 소녀가 나왔다
그리스의 서사시를 뒤집어 현대적인 버전으로 재탄생시킨 그래픽노블. 주인공 페넬로페가 겪는 혼란을 펼쳐놓음으로써 현대 여성이 겪는 다양한 방면의 고통을 들여다본다. 우리는 이러한 고통이 페넬로페 한 사람의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며 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갖고 있다는 것, 문제가 한없이 복잡한 만큼 손쉬운 해결책 역시 없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모성 자아실현 제국주의 자본주의 죄책감 내적갈등 분쟁지역
유디트 바니스텐달(Judith Vanistendael)
INSTAGRAM
1974년생, 벨기에 만화작가이자 일러스트 작가. 정치망명 난민인 아프리카 토고의 청년과 벨기에 여대생의 사랑을 그린 첫 작품 <소녀와 흑인 소년>으로 단번에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2권으로 된 이 이야기는 앙굴렘 만화페스티벌에서 두 번이나 대상 후보에 올랐고,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래픽 노블 <당신의 목소리가 사라지는 동안>, <페넬로페 : 전쟁터에서 돌아온 여자> 등을 펴냈으며 아이들을 위한 책의 삽화들도 그리고 있다.
김주경
이화여대 불어교육학과와 연세대학교 대학원 불문학과를 졸업했다. 프랑스 리옹 제2대학교에서 박사 과정 수료 후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한국화의 《도시에 사막이 들어온 날》, 가스통 르루의 《오페라의 유령》, 엘리자 수아 뒤사팽의 《블라디보스토크 서커스》, 실뱅 테송의 《눈표범》, 비올렌 위스망의 《나의 카트린》, 에릭 엠마뉴엘 슈미트의 《엄마를 위하여》 등 다수가 있다.
페넬로페
유디트 바니스텐달 지음 | 김주경 옮김
소설
2
.png&blockId=15bfe8b5-2438-808b-8078-c7af5daa742c)
일어날 일은 일어나고, 사랑은 가장 예기치 못한 방식으로 찾아온다
주인공이자 화자인 라우라는 외국에서 공부하고 아무 부담 없이 연애를 하며 자유롭게 살아가는 비혼 여성이다. 학업과 논문에 대한 열정, 밤늦게까지 이어지는 파티, 원할 때마다 훌쩍 떠날 수 있는 해외 여행 등 삶에는 즐길 수 있는 일들이 너무나 많고, 라우라의 삶에서 결혼과 출산은 존재하지 않는 선택지다. 파트너의 유혹에 굴복할 뻔한 순간, 그 즉시 난관수술을 감행할 만큼 비출산에 대해 단호하고 확신에 차 있는 라우라. 소설에서 라우라는 자신을 포함해 각기 다른 다섯 여성의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한때 라우라와 같은 신념을 공유했지만 이제 사랑하는 남자와 결혼해 난임시술을 받으면서까지 아기를 원하는 친구 알리나, 도저히 통제되지 않는 아들을 홀로 키우느라 삶의 의욕마저 놓아버리는 옆집 여자 도리스, 딸의 비출산 선언을 듣고 비로소 자신의 경험을 돌아보는 라우라의 어머니, 그리고 알리나가 낳은 아기를 돌보는 보모 마를레네.
출산 모성 임신 돌봄 비혼 비출산 장애 연대 페미니즘
“이 책은 삶, 죽음,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 맺기 같은 정말 중요한 문제들로 우리를 데려간다. 그 모든 것이 이 책이 탐구하고 심화시키는 모성의 경험 속에 담겨 있다.”
_아니 에르노
과달루페 네텔(Guadalupe Nettel)
INSTAGRAM
1973년 멕시코시티에서 태어났다. 파리의 고등사회과학연구원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소설과 논픽션을 포함해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발표해 왔다. 2006년 보고타 하이페스티벌에서 39세 이하의 가장 중요한 라틴아메리카 작가 39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고, 멕시코에서 잡지 편집장으로 활동하는 한편 스페인어 및 프랑스어 잡지에 정기적으로 기고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El huesped』(2006), 『The Body Where I Was Born』 (2011), 『After the Winter』 등이 있다. 여러 작품들이 연극, 퍼포먼스, 영화로 각색되었으며, 『이네스는 오늘 태어날 거야』는 2023년 국제 부커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이네스는 오늘 태어날 거야
과달루페 네텔 지음 | 최이슬기 옮김
논픽션
3
에세이
2